본문 바로가기

진화심리학

[책] 오래된 연장통, 자연선택 다윈의 힘 이 책은 진화심리학, 자연 선택 과정에 따라서 현재 우리가 특정 행동을 하는것을 이해시켜준다. 첫 번째 연장부터 서른 세번 째의 연장. 총 33가지 챕터로 구성되어 있고, 우리가 자연스레 알고 있지만 왜 그런지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부분들을 진화심리학을 통해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우리의 뇌는 아직도 구석기 시대에 머물러 있고, 현재 상황에 맞게 재적응 됐다고 볼 수 있다. 구석기 시대로 돌아가서, 그때의 상황을 이해하면은 현재를 더 정확하게 이해 할 수 있게 된다. 그 시절에는, 수렵과 채집 활동시기였으므로, 소수로 몰려다니며 부족 사회를 이루고, 남자들은 사냥을 위주로 하게된다. 사냥을 하게 됐을때, 매번 성공할 확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육류로 가져오는 고기는 그 안에.. 더보기
[책] 지능의 사생활, IQ(지능)의 역설 이 책은, 지능이 더 높다고 해서 누군가를 우월하게 바라보고, 더 가치 있는 사람이 아니라는것을 먼저 밝히고 시작한다. 여기서 말하는 지능이란 IQ을 의미한다. IQ을 측정할때, 0.9~0.99정도의 편차가 있어서 1~10% 내외로 그날의 컨디션에 따라서 어느 정도 차이는 있겠지만, 거의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IQ는 유년기때 0.4 ~ 성인이 되었을때 0.8 수준으로 대부분 유전자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말하고 있다. 우리가 단순히 지능이 높으면 직관적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는 것들이 있다. 우리가 학교를 다닐때, 지능이 뛰어난 친구들을 보면 학업 성적이 월등한 것을 느낄 수 있다. 그에 대한 결과가 무엇인가? 사회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올라가 있거나 높은 연봉을 받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진화심리학적.. 더보기
[책] 욕망의 진화, 자청의 베스트셀러 요새 심리학 중 진화심리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서, 관련된 책들을 찾아보고 있다. 그 중 으뜸이라고 할 수 있는 데이비드 버스의 욕망의 진화, 자청의 추천 책으로도 유명하다. 이 책도 소름돋게 서울 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신 전중환 교수님께서 옮기신 책이다. 오래된 연장통에서 저자로 뵙었는데, 이 책에서 옮긴이로 뵈으니..참 신기했다. 얼마나 괜찮은 도서길래 직접 옮긴이 까지 자처 하셨을까 기대 반, 설렘 반으로 책을 읽었다. 우선, 남녀의 특성으로 부터 시작해서 파경에 이르기까지 차근차근 설명해 준다. 그 안에서 다윈 이론에 의한 자연선택이 어떠한 심리적 기제를 만들어서 우리의 뇌가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행동하고 있는지까지 보여준다. 물론, 책을 읽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남자나 여자를 많이 만나게 되면은.. 더보기
[책] 정리하는 뇌, 멀티테스킹이 불가능한 일? 이 책은 인지심리학자이자 신경과학자인 대니얼 J. 레비틴에 의해서 쓰여진 책이다. 이 책은 왜 우리가 정리를 해야하는지 명확하게 이유를 알려준다. 우리는 현재, 정보의 홍수, 정보의 바다, 정보 과부하의 시대에서 살고있다. 그래서 너무 많은 정보에서 어떤것을 선택하고, 피해야할지 순간 판단력이 흐려지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흔히, 가장 많은 착각 중 하나, 멀티테스킹에 대한 오류를 보여준다. 우리의 사바나의 뇌는, 한 가지 일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멀티태스킹 자체가 불가능 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전두엽피질의 관리자모드와 몽상모드, 백일몽 모드라고 하는데 이 2가지가 계속 번갈아가면서 일하도록 설계 되었기 때문이다. 이 두가지 모드를 변경해주는 스위치는 섬엽이라 불리는, 전전두엽피질 .. 더보기
[책] 인스타브레인, 스마트폰의 충격적인 실체란? 스웨덴의 저명한 정신과 전문의이자 초베스트셀러 안데르스 한센이다. 이 전 책으로는 '뇌는 달리고 싶다' 운동이 우리 뇌에 미치는 영향이 상상을 초월한다고 밝힌 책인데, 기회가 되면 읽어 볼 생각이다. 뇌 사용법을 조금 더 알고 싶다면, 대니얼 J 래비틴의 '정리하는 뇌' 한 번 읽어보길 바란다. ........ 점이 2만개 있다고 생각해보자. 점 하나가 20만 년 전에 인류가 탄생한 이후로 인류의 한 세대를 뜻한다. TV가 있는 세상을 한 인류는 점 8개. 컴퓨터, 휴대전화, 비행기가 있는 세상을 산 인류는 점 3개. 그렇다면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등장한 세대는 점이 몇개일까? 1개다. 우리의 뇌는 1만년 전 사바나 초원에서 수렵-채집 생활을 하고 있는 뇌와 별반다르지 않다. 포노사피엔스처럼 신인류를 칭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