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 썸네일형 리스트형 [책] 50대 사건으로 보는 돈의 역사 Feat. 홍춘옥 돈의 역사가 궁금하다면 = 즉, 자본주의의 역사가 궁금하다면 한 번 쯤 볼만한 책이다. 4부에, 1929년 주가 대폭락의 사태로는 `금본위제`와`청산주의` 정부의 태도가 문제였다. 그 동안 경기 호황으로 자산의 거품이 꼈다고 생각한 정부는 이를 없애려, 강력한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그 이전에 과도한 레버리지투자로 돈을 갚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했고 은행들이 파산에 이르는 지경에 치닫았다. 그러다 보니, 너도 나도 현금을 갖고 있으려고 했고,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시중에 돈은 마르기 시작했고, 유통되는 화폐가 없게 됐다. 이렇게 경제가 망가질 대로 망가졌는데, 금리를 인하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 이유는 금본위제 때문인데, 금리를 낮출경우, 금이 다른나라로 빠져나가는 사태를 막을 수가 없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